Surprise Me!

[과학 한스푼] 수면 중 알람 듣고 깨는 신경회로 규명...각성 장애 치료 단초 / YTN

2023-02-25 5 Dailymotion

사람을 포함해 동물은 잠을 자면 뇌에서 청각 신호를 처리하는 청각 신경회로도 잠을 잡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자는 동안에는 어떻게 소리를 들을까요?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청각 신경회로 대신 소리에 반응해 뇌를 깨우는 새로운 신경회로를 찾아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잡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광섬유를 통해 뇌에 빛을 쪼여 특정 부위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도록 만든 실험용 생쥐입니다. <br /> <br />이 생쥐가 자는 동안 주황색 파장의 빛을 쪼여 뇌 특정 부위의 기능을 억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자 알람 소리를 들려줘도 생쥐가 잠에서 깨어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알람 소리를 들려줘도 생쥐가 잠에서 깨지 않는 건 각성에 관여하는 배내측 시상핵을 억제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는 수면 중인 쥐에 녹색 파장의 빛을 쪼여 배내측 시상핵을 자극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자 알람 소리가 없어도 생쥐가 잠에서 깨어납니다. <br /> <br />배내측 시상핵을 자극한 것이 실제 자명종 소리를 들려준 것과 같은 효과를 낸 것입니다. <br /> <br />카이스트 연구진은 이를 통해 동물이 깨어 있을 때와 잠을 자는 동안에 청각 신호에 반응하는 뇌 신경회로가 다르다는 점을 새롭게 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대수 /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교수 : 잠잘 때 소리 자극을 들려줬을 때 어떤 신경이 활동하는지 관찰했습니다. 그런데 의외로 청각 신경은 자는 동안에 자고 있었습니다. 그때 깨어 있는 신경이 있었는데 바로 배내측 시상핵 신경이었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진은 배내측 시상핵의 GRICK4라는 신경이 핵심 역할을 한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배내측 시상핵은 뇌에서 감각 정보의 중계 센터 역할을 하는 시상핵의 일부로, 주의력과 의사결정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초음파나 전기 자극 등의 방법으로 배내측 시상핵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면 각성 관련 뇌 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성규 (sklee9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22604334697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